서울 지하철 1호선

최근 수정 시각: ()
파일:SM-1.svg
서울 지하철 1호선
Seoul Metro Line 1
서울 地下鐵 1號線
노선 정보
애칭
종로선(鐘路線)
분류
도시철도
기점
종점
역 수
10
노선 기호
1
개통일
1974년 8월 15일
소유자
운영자
사용차량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강원철도 501계 전동차
차량기지
군자차량사업소
노선 제원
노선연장
7.8km
궤간
1,435mm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폐색방식
4현시 복선자동폐색방식
신호방식
ATS-S2
최고속도
80km/h
표정속도
24.6km/h
지상구간
없음
통행방향
좌측통행
개통 연혁
1974. 08. 15. 청량리서울
2005. 12. 21. 동묘앞
1. 개요2. 역사3. 역 목록

1. 개요 [편집]

서울 지하철 1호선은 1974년 8월 15일 개업한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다.

2. 역사 [편집]

서해철도(당시 철도청) 관할 구간과의 노선 상징 색상 통일 이전에는 ● 빨간 색이였는데, 철도청 구간과 1호선 구간의 색이 다르고 남영 ~ 서울역 구간, 청량리 ~ 회기 구간 노선도에 환승 마크가 있어[1] 서로 다른 별개의 노선으로 아는 사람들이 많았다. 결국 이런 문제로 인해 노선색이 통합되면서 군청색이 되었다.[2]

또한 공사를 할 때에는 개착식 흙막이 공법을 사용하였으며, 7.8km의 짧은 노선 길이에도 불구하고 난공사 구간이 정말 많았다고 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제기동역[3], 종각 드리프트 등이 있다.

3. 역 목록 [편집]

  • 횡단 기호 설명
    • ○: 승강장에서 반대편 선로의 승강장으로 횡단 가능
    • △: 대합실 또는 환승통로를 이용하여 반대편 선로의 승강장으로 횡단 가능
    • ×: 어디에서도 횡단 불가능
역번
역명
승강장
환승노선
소재지
형태
횡단
파일:DH-KK.png 경원선 직통
124
淸凉里
│■│ (지하 1층)
동대문구
125
祭基洞
■││■ (지하 2층)
126
新設洞
■││■ (지하 2층)
127
東廟앞
■││■ (지하 1층)
종로구
128
東大門
■││■ (지하 2층)
129
鍾路5(五)街
■││■ (지하 2층)
130
鍾路3街
■││■ (지하 2층)
131
鐘閣
■││■ (지하 2층)
132
市廳
■││■ (지하 2층)
[4]
중구
133
-
│■│ (지하 2층)
파일:NS-GB.png파일:NS-GI.png 경부선·경인선 직통
[1] 다만 청량리역과 서울역은 당대에도 환승 역이었다.[2] 다만 강원철도는 미묘하게 다른 색상을 사용한다.[3] 바로 위에 정릉천이 있어서 공사가 어려웠다고 한다. 실제로 정릉천의 물줄기를 여러번 바꾸며 공사를 했다.[4] 2호선 환승통로를 통한 횡단만 가능하다.

라이선스를 별도로 명시하지 않은 문서는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을 갖습니다.

모래위키의 모든 내용은 가상의 시나리오와 설정을 기반으로 하며,
실제 기업이나 인물, 사건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합니다.